Search
🔗

Supalink

생성일
2025/02/10 11:58
태그

Supalink Project

1. 배경

Firebase Dynamic Link의 서비스 종료 예정으로 Firebase Dynamic link를 대체할 서비스가 필요했고, Supabase와 Vercel로 구현할 경우 운영비용 없이 Preview 페이지에 AdSense를 붙일 경우 안정적인 수익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

2. 작업 기간

2025.01.01 ~ 2025.01.19 (3주)

3. 결과물

A. Supalink Admin

Vercel + NextJS (AppRouter)
Subdomain 생성, Universial Link, AssetLinks 등록. 계정별 권한 분리 기능, Firebase Dynamic link CSV파일 migration 기능
Subdomain 관리 페이지
Supalink 생성 및 관리 페이지
Firebase Dynamic link migration 제공 페이지

B. Supalink Bridge

Vercel + NextJS (AppRouter)
UI는 없지만 Supalink의 핵심 역할을 담당. link의 파라미터 & 해당 페이지에 접근한 브라우저 정보를 통해 플랫폼(iOS, Android, Desktop)에 따라 적절한 페이지로 리다이렉트

C. Supalink Preview

Vercel + NextJS (AppRouter)
모바일 플랫폼의 경우 앱 미설치 시 각 스토어로, 앱 설치시 Universial LInk, AsestLinks를 실행시켜주는 브릿지 화면.
초기 목표는 이 화면에 AdSense 배너광고를 붙이는 것이었으나 현재 보류.
iOS, Android에서 위 링크 접근시 Preview 페이지로 이동
Desktop애서 접근시 naver로 리다이렉트

D. Supabase Project

Edge Functions를 통한 Rest API 구현
PostgreSQL을 활용한 데이터 관리
Authentification + Google 로그인 처리

E. Supalink iOS SDK

supalink-ios-sdk
monibu1548
Supalink를 iOS애 통합할 수 있도록 SPM으로 배포

F. Supalink Android SDK

Supalink를 Android에 통합할 수 있도록 Jitpack으로 배포

4. 성과

A. Google Ads를 일 예산 1,000원 정도로 작게 잡고 광고를 돌려봤고 최근 7일 (2월 2일 ~ 2월9일)에 노출수 2.7만, 클릭수 3.8천회 도달

B. Vercel Analytics에서는 무료플랜 2,500회 오픈 3일만에 초과

C. Google Ads에서 마케팅 관련 전화를 받아봄.. (등록도 안된 번호인데 구글이라고 뜨는것 신기, 스팸인줄 알았음)

D. 출시 3주가랑 지난 지금 (2025.02.10) 회원가입 유저

5. 해결해야 할 문제

A. AdSense 크롤러 권한 부여

신규 구매한 supalink.cc 도메인에 광고를 붙이기 위해서는 AdSense 사이트 승인이 필수적이나 계속 보류 발생.
원인은 supalink.cc 의 랜딩페이지에는 컨텐츠가 없고 그 이후 flow에서는 로그인 과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기 때문.

B. Next AppRouter 방식의 Redirect Code 307, 308에서의 SEO

앱개발에서는 보통 302, 가끔 301을 사용했으나 Next에서는 307(임시), 308(영구)을 사용. 카카오톡, 노션 등 플랫폼마다 링크의 SEO처리가 다른데 원 주소의 SEO를 보여주는 경우와, 리다이렉트 될 주소의 SEO를 보여주는 경우 두가지 케이스로 나뉨.
플랫폼마다 Redirect Code에 따라 SEO의 출처가 달라질 수 있다는 내용을 확인.

C. Android SDK

본업이 iOS 개발자이다보니 Universial LInk나 AppDelegate 등 iOS의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이해가 있었기 때문에 iOS의 전환, 디퍼드 딥링크 등 마케팅 적 요소르 넣을 수 있었지만 Android의 경우에는 단순 앱 실행 및 디퍼드 딥링크 까지만 구현을 완료함.

D. Preview 페이지 로딩 속도

Supabase 무료플랜. NANO 스펙을 사용하다보니 확실히 응답속도가 느림. 특히 콜드스타트에 걸리는 경우 응답시간 지연이 생기고 supalink preview 페이지가 뜨는데 4초 가량 걸림.
유료 플랜으로 전환하고 싶으나 아직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시점에서 전환에 부담중.
속도를 개선해야 유저 유입 및 전환이 더 많아질텐데,,, 아직 수익이 없어 유료플랜이 부담스러운 상황.

6. 추후 계획

A. 타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수익으로 Supabase를 유료플랜으로 전환하여 속도 개선하는 것이 1순위.
B. 충분한 유저 확보 후 Preview Page에 광고 를 붙이고 다양한 유료 플랜 제공.
C. 은퇴. 혹시 이 프로젝트 비싸게 사실분…?
끝.